본문 바로가기

음식 정보

흑돼지,삼겹살의 역사와 상식.

한국인에게 삼겹살이 인기가 좋은 이유?


1970년대 대규모 양돈 산업이 시작 되었으며, 국내수요보다는 일본, 대만, 유럽 등 해외 수출용으로 돼지를 사육했다.

기름기가 적은 안심, 등심을 선호하는 수입국의 설정에 맞춰 부분육으로 수출했고, 남는게 삼겹살 부위였다.

70년대 자료를 보면 정부에서 삼겹살 소비촉진을 위해 홍보를 하기 시작했고, 삼겹살을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몰라 당시 보급되기 시작한 프로판 가스위에 불판을 올려놓고 구워먹기 시작했다.




돼지고기 자체를 조선 시대에는 많이 먹질 않아서 실제 한국인이 돼지고기를 먹게 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조선에서 키우던 돼지는 현재 돼지의 1/3정도 밖에 안되서 부위별로 먹기 보다는 통째로 삶아서 먹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1980년대 초반에 고기 써는 기계가 정육점에 대거 보급 되면서 삼겹살이 대중화가 시작되었고, 그 전에는 칼로 써는 방식이어서 뭉툭하게 썰 수밖에 없었다.

예전에는 고추장 양념에 볶아먹는 제육볶음 형식으로 많이 먹었다.






해외에서는 삼겹살을 많이 안먹나?


해외에서는 기름기가 적은 안심이나 등심부위를 선호하며 삼겹살은 판체타(햄), 돼지기름, 베이컨 등 가공식품을 만들때 많이 쓰인다.

독일에서는 소시지를 만들때 여러부위 다 넣는데 삼겹살은 버린다. 버려지는 삼겹살은 한국으로 수출되고 있슴.






대패삼겹살이 많이 사라진 이유?


예전에는 수입삼겹살이 냉동 상태로 들어왔었다.

한국인에게 수입산은 맛이 없다는 게 각인이 되어 있었고, 국산 삼겹살을 냉장 삼겹살로 내기 시작 하면서 1990년대 말 국산은 냉장이고 수입은 냉동이라는 인식이 형성된다.

이런 이유로 대패 삼겹살이 점점 잊혀지고 냉장 삼겹살이 유행하기 시작.

현재는 수입 삼겹살도 냉장으로 많이 들어옴.






제주도 에는 인분을 먹는 똥돼지가 있나?


똥돼지는 제주도 뿐만 아니라 지리산 권역을 비롯하여 남쪽 지방베어 주로 키웠다.

곡물이 넉넉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돼지를 키울 수가 없었고, 줄것이 없어 똥이라도 먹여서 키운것.

후에 위생문제로 똥돼지들은 사라지게 되고 제주도에서는 1970대도 있었다.

제주도의 통시(제주 전통 가옥의 화장실, 변소와 돼지막이 함께 조성되어 있음) 를 관광객들이 신기해 하자 현재는 관광상품으로 남아 있음.






제주도 흑돼지가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제 550호로 1986년 우도에서 토종 흑돼지와 유사한 수컷 1마리와 암컷 4마리를 찾음.

수컷에 김문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그 후손들 260여 마리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됬다.

100% 순종은 아니지만 토종 흑돼지와 가장 유사한 종.






흑돼지와 일반 돼지는 맛에서 큰 차이가 없다?


두 돼지 모두 맛에는 차이가 없으며 흑돼지가 비싼 이유는 일반돼지는 5~6개월 정도 키우면 도축이 가능하지만 흑돼지는 9~10 개월을 키워야 하기 때문에 사료와 노동력이 더해진다.

흑돼지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흑돼지를 특별하게 키우는 농가들이 많이 생겨났다.

제주도 도축방식은 탕박이라 하여 껍데기가 제거하지 않고 털만 뽑아내는 방식으로 도추하며 이를 오겹살 이라고 한다.




오겹살과 삼겹살의 차이?


껍데기가 붙어 있으면 오겹살, 아니면 삼겹살이며 삼겹살은 껍질을 한번더 벗겨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오겹살이 삼겹살보다 비싼 이유는 3보다는 5가 더 나은 것이라고 소비자가 착각을 하니까 상술로 인해 더 비싸졌다.

공정이 더 적은 오겹살이 더 싸야 정상.






국내산, 수입산의 맛 차이?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품종을 쓰고 사료도 비슷하기 때문에 돼기고기 맛의 차이는 없다고 봐야한다.

요즘은 수입산 돼지고기의 유통경로도 명확하기 때문에 국내산을 고집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